[앵커]<br />최근 사회복무요원인 고위 공직자 아들이 이른바 '꿀 보직'에 배치되는 비율이 일반인보다 압도적으로 높다는 보도를 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는 지금껏 베일에 가려져 있던 고위공직자 아들의 현역 병사 근무지 현황을 YTN이 처음으로 단독입수했습니다.<br /><br />역시나 고위공직자 아들의 부대배치는 일반인과 사뭇 달랐습니다.<br /><br />조태현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YTN이 단독입수한 4급 이상 고위공직자 아들의 현역 복무 부대 배치 현황입니다.<br /><br />육해공군에 복무 중인 고위공직자 아들 6백5십여 명을 전부 조사했더니, 비전투 특기나 비전투 부대에서 근무하는 병사는 350여 명으로, 전체의 54%가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비전투 특기나 비전투 부대는 행정과 수송, 보급과 군악 등의 병과로, 일반인 아들 10명 중 7명이 보병과 포병, 기갑과 통신 등 전투부대에 배치되는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지원 역할을 주로 하는 비전투 부대인 미 8군에 배치된 고위공직자 아들은 전체의 5.6%로, 1%도 안 되는 일반인보다 훨씬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성적과 추첨으로 선발하는 미 8군은 경쟁률이 9.3대 1에 달하는데도 고위 공직자 아들의 배치 비율이 일반인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겁니다.<br /><br />또, 한 국회의원의 아들은 심리전단, 다른 국회의원 아들은 감청부대에서 일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고위공직자 아들의 비전투부대 배치가 일반인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군내 위화감도 조성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김중로 / 국민의당 의원 : 잘못된 의식으로 인해 모두가 다 평등하게 국민의 의무를 해야 하는데 군에서 이런 식으로 한다면 남북 분단 상황에서 나라를 누가 지키겠습니까?]<br /><br />사회복무요원에 이어 현역 병사 부대 배치에서도 금수저·흙수저 논란이 제기되면서 병사 근무지와 부대 배치에 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092122170653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